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주요통계

TOP

고용률

분야주요지표 > 경제활동
그래프
[단위 : 천명, %]
통계표
[단위 : 천명, %]
자료안내
출처 원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GSIS 출처 주제별 > 경제활동 > 인력현황 > 농가여부별 경제활동인구(성별)
관련 사이트 kosis.kr
주기 1년
지표안내
개념 - 연간 성별 취업자 및 고용률
의의 - 15세 이상 남녀 인구의 경제활동 즉, 취업 특성을 조사하여 인적자원 개발 정책 수립 및 여성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해석

- 2015~2019년까지 취업자 수는 남녀 모두 증가함.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취업자는 남녀 모두 전년대비 감소하였고, 2021년에 2019년 수준으로 회복함.

- 고용률은 여성이 201550.1%에서 201951.6%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2020년에 50.7%로 전년대비 감소하였고 2021년 51.2%로 반등함, 남성은 201571.4%에서 2020년 69.8%로 감소하였으며, 2021년 70.0%로 전년대비 소폭 상승함

여성과 남성 고용률 차이는 2015년 21.3%p에서 꾸준히 감소하여 2020년에는 19.1%p, 2021년에는 18.2%로 나타남.

- 그러나 여전히 고용률에 대한 성별 차이가 큼.

이용상 유의점

-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 수와 비율. 15세 이상 인구 중 군인(직업군인, 상근예비역 포함), 사회복무요원, 의무경찰, 형이 확정된 교도소 수감자 등 제외됨.

- 단위가 천명인 관계로 정합성이 맞지 않을 수 있음.

용어설명

- 취업자 : 조사대상기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한 사람을 말함. 자기에게 직접적으로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가족이 운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를 위해 일주일에 18시간 이상 일한 자,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인 병, 사고, 휴가 또는 연가, 교육, 노동쟁의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도 취업자에 포함함.

- 고용률 : 15세이상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취업자 / 15세이상인구 X 10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관련 연구
최종수정일
23/02/07